[한반도 브리핑] 바이든 대선 완주할까?…시진핑·푸틴 '반미연합' 확장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의 한반도 정세와 외교·안보 이슈를 정리해 보는 토요일 대담 코너 '한반도 브리핑'입니다.<br /><br />국제, 외교·안보 분야 담당하는 이치동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 주요 사안부터 소개해주실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민주당이 '바이든 대선후보 딜레마'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다룰 내용 정리하고,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대선판에 남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안방에서 열리는, 나토 정상회의에서 활약을, 기대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시진핑 주석과 푸틴 대통령이, 상하이협력기구 정상회의에서, 반미 연대의 세를 과시했습니다.<br />'유라시아 안보 체제'도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국방부가 북한, 중국, 러시아 견제를 위해, 주일 미군기지에 최신 전투기를 대거 배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세 번째 항공모함의, 실전 배치를 서두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뜨거운 사안 중 하나인 바이든 대통령의 거취 문제부터 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상황을 정리해 볼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 대선이 딱 4개월 남았는데요.<br /><br />말 그대로 패닉과 혼돈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처지에서는 문제의 TV 토론이 지난달 27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미언론 표현으로 재앙 수준, 역대 최악의 대선후보 토론 성적표를 받았죠.<br /><br />이후 현지 언론이 팔순이 넘은 바이든 대통령의 일거수일투족을 말 그대로 탈탈 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외신의 촌철살인 제목 두 개를 소개해드리면요.<br /><br />AFP 통신이 "crazy 미친 한 주: 바이든 토론의 여파로 뒤집힌 대선판" 제하의 기사를 내보냈습니다.<br /><br />어제는 블룸버그 통신이 "바이든, 2024년 선거를 위한 운명의 주말"이라는 제목으로 이번 주말이 바이든 대통령의 정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만큼 바이든 대통령이 처한 상황이 엄중하다는 건데요.<br /><br />그러나, 오늘 위스콘신주 유세와 ABC 방송 인터뷰에서는 토론 당일 컨디션이 안 좋았을 뿐이라면서, 완주 의지를 재차 분명히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대선 승리를 위해선 꼭 가져와야 하는 격전지 중 하나인 위스콘신주 유세 연설 먼저 들어보시죠.<br /><br /> "추측이 난무합니다. 바이든이 어떻게 할까요? 레이스를 계속할까요? 그만둘까요? 제 대답은 이겁니다. 저는 계속 달릴 거고 이길 겁니다."<br /><br />나름 유머와 제스처도 동원해서 여유 있는 모습을 보이려 애썼습니다. 이어진 ABC 방송 인터뷰에선 1차 토론 때 몸 상태도 안 좋고, 토론장도 어수선해서 집중력을 잃었다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, 당장 사퇴 압박이 수그러들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.<br /><br />CNN 등 주요언론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번 인터뷰에서 레이스를 당장 중단해야 할 만큼 큰 실수도 안 했지만, 우려를 잠재우지도 못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레이스에서 계속 뛰어서 이기겠다고 하는데, 뛰는 건 본인 의지지만, 이기는 건 다른 문제니까요.<br /><br />4년 전엔 트럼프 전 대통령의 '슬리피 조' 공격을 노회함으로 이겨냈지만, 이제 노쇠함에 더해 노욕까지 부리는 거 아니냐는 비판도 거셉니다.<br /><br />민주당과 지지자들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무엇보다 문제는 민주당 내 분열 조짐, 그리고 격전지에서 재선을 노리는 하원 의원들의 위기감입니다.<br /><br />우리로 치면 수도권 출마자들이 애가 타는 거죠.<br /><br />11월 5일 대선 때 상.<br /><br />하원 의원 선거도 함께 치러집니다.<br /><br />임기가 2년인 하원은 435명 전원 대상이죠.<br /><br />민주당 지지층과 4년 전에 바이든에게 표를 준 중도 성향 유권자들이 전의를 상실하고, 투표장에 나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결국, 바이든 대통령이 당분간 거취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할 거 같은데요.<br /><br />관전 포인트도 짚어 주실까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 주 독립기념일 연휴가 끝나고, 워싱턴 정가 일정이 재개되는데요.<br /><br />특히, 다음 주에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정상회의가 워싱턴에서 열립니다.<br /><br />화요일부터 사흘간이죠.<br /><br />연례행사인데요.<br /><br />올해가 나토 창설 75주년이어서, 특별히 워싱턴에서 개최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유럽과 아시아 지도자들이 모여 우크라이나 문제와 국제 안보에 대해 논의합니다.<br /><br />기자회견도 하고요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도 참석합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에겐 양날의 칼입니다.<br /><br />고령, 건강 리스크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고, 강점으로 자평하는 외교를 통해 자신이 건재함을 보여줄 수도 있는 찬스기도 합니다.<br /><br />ABC 인터뷰에서도, 이번 나토 정상회의에서 자신의 활약을 보고 판단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돌아보면, 대선 후보 TV 토론회를 비교적 일찍 시작한 게 바이든 대통령 쪽의 자충수가 됐다고 할 수 있겠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흥미로운 지점인데요.<br /><br />4년 전엔 1차 대선 후보 TV 토론회가 가을에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엔 3개월 일찍 했죠.<br /><br />이게 결과적으로 민주당에 독일지 약일지는 모릅니다.<br /><br />매도 일찍 맞으라고, 그나마 상황을 수습할 시간은 있으니 천우신조,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어떤 상황이 펼쳐질지에 달린 건데요.<br /><br />당초 바이든 대통령이 먼저 일찍 TV토론을 하자고 제안했고, 트럼프 전 대통령이 흔쾌히 받으면서 성사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에 CNN 주관 토론회 일정이 발표됐는데요.<br /><br />바이든의 고령 리스크 논란이 계속되다가, 3월 국정 연설에서 나름 활기있는 모습을 보였죠.<br /><br />우려와 논란이 수그러들었습니다.<br /><br />4월에는 트럼프의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하면서 지지율도 따라잡았고요.<br /><br />바이든 캠프에서 여세를 몰아 대선 레이스 초반에 승기를 잡기 위해서 조기 토론 승부수를 띄운 거죠.<br /><br />현재로선 자충수가 된 셈입니다.<br /><br />이제 되레 트럼프가 무제한 토론, 자유 대련을 하자고 선공을 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기자들이 묻자, 바이든도 하겠다고 일단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9월로 예정된 ABC 방송 주관 2차 TV 토론 전 '번외 토론'인 데요.<br /><br />실제 성사될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와중에,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상하...